|
||
우리 아이의 성장은 부모님들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이다. 특히 여자아이의 경우, 초경 시작 시기에 대해 많은 궁금증과 걱정을 가지고 있다. '빠른 생리가 아이 몸에 안 좋은 것은 아닐까?' 하고 염려하는 부모님들이 많다. 과연 빠른 초경은 무조건 나쁜 것일까? 그리고 요즘 시대에 우리가 더 집중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초경은 만 12세~13세 경에 시작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초등학교 2~4학년처럼 이른 나이에도 초경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렇게 이른 시기에 초경을 시작하면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신체적, 정신적 부담: 아직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초경을 맞이할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생리를 시작하면 아이가 당황하거나 힘들어할 수 있다. 몸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 생리통 등 여성 질환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질 수도 있다. 두 번째, 빠른 생리는 성조숙증 또는 조기 사춘기의 신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성조숙증 또는 조기 사춘기는 단순히 키 성장을 방해하는 것을 넘어, 성인이 되었을 때 여성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도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세 번째, 최종 키가 작아질 확률이 높아진다. 초경 후에는 성장판이 닫히는 속도가 빨라져 최종 성인키까지 평균 5~6cm 추가 성장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만약 초경 시작 시 키가 충분히 크지 않다면, 최종 키가 예상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전에는 초경 시작 나이가 중요하게 여겨졌지만, 요즘은 초경 시작 시기보다 '키'에 집중해야 하는 시대이다. 왜냐하면 초경 후 키 성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초경 시작 시점의 키가 최종 키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 하우연한의원 윤정선 대표원장 그래서 이제는 평균적인 초경 시작 시기보다 ‘바른 초경 시작 시기’가 더 중요하다. 바른 초경 시작 시기의 기준은 나이뿐 아니라, 초경 시작 당시의 키가 155cm까지 충분히 성장해 있는가도 함께 체크해 보아야 한다. 초경을 시작했을 때 키가 150cm라면, 최종 키가 160cm 이상 되는 것이 평균 성장(5~6cm)을 적용하더라도 160cm 이상 되는 것이 쉽지 않다. 과거 부모님들이 자랄 때 초경을 하고 이후로 키가 전혀 안 컸다고 하는 경우 또한 바로 평균의 함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160cm 이상 크기 위해선 초경 시작 전까지 키를 155cm까지 충분히 키워내는 것이 중요하다. 초경을 시작했을 때 키가 150cm라면, 최종 키가 160cm 이상 되는 것이 평균성장(5~6cm)을 적용하더라도 160cm 이상 되는 것이 쉽지 않다. 과거 부모님들이 자랄 때 초경을 하고 이후로 키가 전혀 안 컸다고 하는 경우 또한 바로 평균의 함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초경과 최종 키는 밀접한 연관이 있다. 초경 후 성장판이 빨리 닫히면서 키 성장이 더뎌지기 때문에, 초경 시작 시의 키가 클수록 최종 키도 클 가능성이 높다. 이른 초경을 예방하고 최종 키를 최대한 키우기 위해서는 성장 속도를 미리 체크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여자아이의 경우, 초등학교 1학년, 3학년이 되기 전에 미리 성장 검사를 통해 성조숙증은 아닌지, 빠른 초경의 징후는 없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또한 성장 검사를 통해 아이의 현재 성장 발달 상태, 성장판 진행 정도, 초경이 시작될 시기 등을 예측할 수 있다. 만약 성조숙증이나 빠른 초경의 가능성이 있다면, 체질에 맞는 식습관, 생활습관, 운동법 등을 개선하고 필요에 따라 초경 지연 및 성장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출처 : 이코노믹리뷰(https://www.econovil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