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하우연한의원 윤정선 박사의 답변
안녕하세요. 대한한의사협회-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윤정선입니다.
여학생의 경우 일반적인 성장발달단계(평균 시기)에 대해 말씀드리면
-> 만 10세 즈음에 가슴 몽우리를 대표라 하는 사춘기 2차 성징이 시작
-> 만 12세 초경 시작 (만 10 ~ 만 12세 전까지 약 1~2년간 연평균 성장 7cm 이상의 급성장이 이루어짐)
-> 초경 후에는 점점 성장 가능성이 줄어들어 이후 최종 성인 키까지 평균 5~6cm 추가 성장함
-> 초경 1~2년 안에 대부분의 성장이 종료
물론, 위에서 언급한 성장발달은 일반적인 평균을 언급한 것이며 초경 이후라도 성장판의 상태, 생활습관 관리, 의료적 도움 등에 따라서 평균을 웃도는 성장이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질문자분은 고1 만 16세로 실제 연령만 보면 성장이 거의 종료되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만일, 초경 한지 1~2년 이내이고 골연령이 실제 연령보다 어리고 성장판이 남아있다면 아직 성장 가능성이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성장 클리닉을 전문으로 하는 의원, 한의원에 내원하여 성장판 등의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합니다.
만일, 성장판이 열려있다고 판단되면 아래와 같은 생활습관을 지키는 것이 성장발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수면: 키 성장의 핵심 요인
성장호르몬은 *깊은 수면 중(특히 10시~2시 사이)*에 가장 많이 분비됩니다.
최소 7~9시간의 충분한 수면을 확보하세요.
가능한 한 밤 10시 이전에 잠자리에 들고, 전자기기 사용은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성장판에 자극을 주세요
운동은 성장호르몬 분비와 뼈에 긍정적인 자극을 줍니다.
*추천 운동:
#농구, 배구, 줄넘기: 하체 충격과 스트레칭 동작이 많아 성장에 도움
#스트레칭, 요가: 자세 교정과 성장판 자극
#웨이트 트레이닝은 성장판이 열려 있다면 너무 무거운 중량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영양: 뼈 성장을 위한 기본 재료
골격 성장에 필요한 주요 3대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세요:
칼슘: 우유, 치즈, 두부, 멸치
단백질: 달걀, 닭 가슴살, 생선, 두유
비타민 D: 햇빛 노출(하루 20~30분), 연어, 달걀노른자
아연 & 마그네슘: 견과류, 해산물, 통곡물
가공식품이나 고담도 간식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해 성장호르몬 분비를 억제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자세와 습관 개선
거북목, 라운드 숄더, 척추 측만증 등은 실제 키보다 작아 보이게 만듭니다.
평소에 허리 펴고 바른 자세 유지, 책상 높이 조절, 스마트폰 사용 자세 교정에 신경 쓰세요.
*스트레스 관리
만성 스트레스는 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켜 성장호르몬 분비를 방해합니다.
명상, 가벼운 산책, 친구와의 대화 등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