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하우연한의원 윤정선 박사의 답변
안녕하세요. 대한한의사협회-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윤정선입니다.
여학생의 경우 초경이후 호르몬등의 영향으로 빠른속도로 성장판이 닫히게 됩니다. 이후 1~2년정도 성장속도가 급격하게 줄어들다가 초경후 평균 4~5cm 정도에서 최종 키 성장이 멈추게 됩니다.
물론, 초경후 평균 성장이 4~5cm 이라하더라도 여러가지 변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초경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성장판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있는지 아닌지의 여부, 호르몬의 영향, 초경한 이후의 기간, 유전적인 부분등에 따라서 초경후 전혀 자라지 않을 수도 있고, 초경이후라도 평균을 상회하여 키성장을 이룰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노력여부와 필요한 경우 의료적 도움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초경후라도 성장속도가 3개월 6개월단위로 키 성장 변화를 측정해 놓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만일, 초경후 6개월이상 1년동안 키성장이 전혀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실상 좋은 신호라 볼수는 없습니다.
다만, 보다 정확한 상담을 위해서는 성장클리닉을 전문으로 하는 한의원,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키 성장을 위해서 성장 연령기에 공통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하자면 크게 3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다만 우리 이미 알고 있는 것이지만 실천을 잘 못하는 생활습관인 것이죠.
첫째, 식습관으로는 1일 3식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음식을 가리지 않고 골고루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가급적이면 공복시간(4~6시간)을 간격으로 1일 3회 주어진 시간에 음식을 골고루 천천히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일 간식 등을 더 먹고 싶다면 오히려 공복시간보다는 정해진 식사 후에 추가로 섭취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입니다. 저녁식사는 지나치게 배부르지 않도록 하고 특히 지나치게 기름진 음식과 과한 단백질 섭취는 자제하여야 하며 저녁식사 후 야식도 가급적 자제하여야 수면 중 성장호르몬 분비가 더욱 원활해질 수 있습니다.
둘째, 운동습관으로 주로 하지 성장판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줄넘기나 걷기 등을 꾸준히 지속적으로 하여야 합니다.
성장호르몬은 하루 종일 분비되기는 하되, 특정한 조건인 경우에 분비량이 급증합니다. 첫 번째는 야간에 숙면을 취했을 때 분비량이 급등하며, 저녁식사 후 야식하지 않은 조건에서도 분비량에 도움을 줍니다. 낮에는 상대적으로 분비량이 적으나 중력에 반하는 운동 뛰기, 줄넘기, 농구 등의 상하운동시 특히 분비량이 증가됩니다.
세 번째로, 수면습관은 위에서 언급한 대로 10시~2시 취침중 성장호르몬 분비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특히 해당 시간에 충분한 숙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숙면을 취하기 위한 조건이 필요한데,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소리와 빛을 차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그래야 멜라토닌이 원활히 분비되며 이후에 성장호르몬 분비에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핸드폰 시청과 같은 시각적 자극은 취침 전 2~3시 전에 완료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가급적 잘 숙지하시되 제일 중요한 것은 꾸준함입니다. 꾸준히 실천하셔야 종국에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