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71년 비방으로 우리 아이의 바른 성장을 책임지는 하우연한의원 입니다.
칼럼
[이코노믹리뷰] [워킹맘·워킹대디 육아월드] 딸바보 아빠도 놓친 ‘내 딸의 성조숙증’
2018-10-08 00:00:00
딸아이를 좋아하는 아빠들을 통칭해 ‘딸바보’라는 말을 자주 쓴다. 요새 딸바보 아빠들이 참 많아진 듯하다. 엄마만의 역할이었던 육아가 아빠와 함께 하는 공동 영역으로 넘어가는 사회 분위기도 한몫한다. 요새 TV 예능 프로그램만 봐도 MBC <아빠! 어디가?>에 이어 KBS <슈퍼맨이 돌아왔다>, SBS <아빠를 부탁해>, 채널A <아빠본색>까지, 육아와 양육에 대한 아빠의 관심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딸바보 아빠들도 놓치기 쉬운 질병이 있으니, 바로 ‘성조숙증’이다. 성조숙증은 여아 만 8세 이전에 유방이 발달하거나 9세 전에 음모(陰毛)가 나고 9.5세 전에 초경이 시작되는 경우를 말한다. 남아는 9세 전에 고환 크기가 4㎖로 커졌을 때 나타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이 병으로 진료받는 환자만 8만6352명에 이른다. 이는 2010년(2만8251명)에 비해 3배 이상 넘게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환자 중 남자는 7957명, 여자는 7만8395명(90.8%)으로, 대부분 여자 아이들이다. 
성조숙증으로 인한 딸의 질병 징후에 둔감하다 보면 딸바보가 아니라 바보 아빠가 되기 쉽다. 진정으로 딸을 사랑하는 아빠일수록 딸아이의 몸과 마음에 어떤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함께 알아보고 고민하는 것이 좋다.



아빠는 여자인 적이 없다, 낯선 딸의 신체 변화 
국내에서 성조숙증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그 대상이 대부분 여아인 상황이지만 아빠들은 딸아이의 성조숙증에는 둔감하기 쉽다. 성조숙증의 대표적 증상이 유방의 발달과 또래에 비해 빠른 발육인데, 아빠들은 이를 ‘성장이 빠른 정도’라고 인식하고 넘기기 쉬워 치료의 적기를 놓치기 때문이다. 또한 아들로 태어난 아빠는 아무리 딸을 사랑해도, 딸이 느끼는 몸과 마음의 변화가 또래집단 관계에서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기 어렵다. 오히려 ‘빨리 자라면 좋은 거 아니야?’, ‘잘 자라고 있는데 대체 뭐가 문제지?’라고 생각하기 일쑤다. 

하지만 성조숙증을 제때 치료하지 못하면 성장판이 일찍 닫혀 원래 갖고 태어난 키보다 작게 성장할 수 있고, 초경이 너무 빨리 시작해 갱년기와 폐경의 시기가 빨라질 수 있다. 실제 10살에 초경을 시작한 아이는 갑작스럽게 친구들과 달라진 신체 변화에 당황하게 된다. 아빠가 아무리 집에서 괜찮다고 해도, 학교에 가면 혹시 친구들이나 선생님이 알게 될까 두려워지는 것이다. 아빠가 딸아이의 감정과 혼란에 모두 공감하기는 어렵지만, 친구들과 달리 혼자만의 변화를 겪는 아이의 마음을 헤아려 주며 빠른 대처로 치료 적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는 가르치는 대로 크지 않고, 보는 대로 큰다 
아이들은 가르치는 대로 크는 것이 아니라 보는 대로 큰다는 말이 있다. 아이들에게 이래라 저래라 지시하는 것보다 엄마와 아빠가 어떤 눈으로 보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뜻이다. 비단 정서적 태도뿐 아니라, 신체적 변화에도 마찬가지다. 
눈에 넣어도 안 아픈 예쁜 딸을 쳐다보는 딸바보 아빠들의 눈에서는 사랑이 샘솟지만, 한눈에 잘 보이지 않는 질병의 징후들은 놓치기 쉽다. 특히 뇌질환으로 인한 성조숙증이 그렇다. 
성조숙증은 진성과 가성으로 나뉜다. 가성은 이른 초경, 유방 및 고환의 발달 등 2차성징이 빠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약물이나 영양과잉, 잘못된 생활습관의 영향으로 성호르몬이 과도하게 생성되는 것이다. 가성의 경우 치료 적기에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와 생활습관을 교정하면 큰 문제없이 지나갈 수 있다.
보다 심각한 것은 진성이다. 비교적 흔치 않은 진성 성조숙증은 뇌종양이나 두부의 방사선 조사, 중추신경계의 선천성 기형 등으로 인해 성선 호르몬에서 성호르몬이 적절하지 않은 시기에 방출되어 사춘기가 나타난다. 주요 원인으로는 출생 시 머리의 충격이나 유전적인 결함, 뇌하수체 종양이나 시상하부의 종양, 후천적인 뇌손상, 뇌염, 뇌막염의 후유증, 염증성 질환, 방사선 치료에 의한 손상 등이 있다. 이는 보다 심각한 경우로 종양 제거 수술을 하고 호르몬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아이콘 문의하기
자녀 이름
연락처
고민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