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진단은 예로부터 황제에게 진상하였던 진귀한 명약으로 효능, 효과가
뛰어난 약입니다. 중국 남송 시대인 1196년, 의학자 손림(孙琳)에 의해
처음 처방되었으며, 이후 1337년 위역림(危亦林)의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에 수록되면서 널리 알려졌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세종시기 중국 의학서적 간행사업을 하면서
전해졌으며 이후 왕실에서도 복용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저자 | 이진현 외 |
학술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년 |
내용 | 이 논문은 공진단의 항산화 작용, 중추 신경계 질환, 염증 질환, 심혈관계 질환, 면역 질환, 간 손상 회복 등에 대한 효과를 문헌적으로 고찰하였습니다. |
저자 | 김종대 외 |
학술지 |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7년 |
내용 | 이 연구는 만성 어지럼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공진단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프로토콜을 제시하였습니다. |
저자 | 김종대 외 |
학술지 | Frontiers in Pharmacology, 2018년 |
내용 | 이 연구는 공진단이 수면 부족으로 인한 급성 피로를 완화하는 데 효과적임을 임상적으로 입증하였습니다. |
저자 | 장하정 외 |
학술지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년 |
내용 | 이 연구는 경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들에게 100일간 공진단을 투여한 결과, 인지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습니다. |
1. |
공진단을 만들 때 중요한 것은 어떤 사향을 사용하는가입니다. 하우연에서는 정식 유통된 정품 사향만을 사용합니다. |
2. | 녹용 중에서도 으뜸이라는 러시아산 원용만을 사용합니다. |
3. | 초미립자분쇄로 입자를 곱게 만들기 때문에 흡수가 용이합니다. |
4. | 1환당 5그램으로 타 공진단 보다 사이즈가 큽니다. |
5. | 크리스탈 청병 포장으로 포장이 고급스럽습니다. |
저자 | 박혜빈, 김수연, 박성진 / 학술지: 농업생명환경연구 (Journal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
학술지 | 2019/ 권(호): 31권 3호, 151–159쪽 |
저자 | 정현숙, 강세영, 한현진, 장인수 (우석대학교) |
학술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
게재년도 | 2012년, 제33권 4호, pp. 511–519 |
연구 목적 |
신선불취단(SBD-1)의 숙취 예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이중맹검 무작위배정 교차임상 예비연구 내부한의학저널+4RISS+4Korea Science+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