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한한의사협회-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윤정선입니다. 남학생의 경우 골연령 기준으로 13세부터 14세까지 약 2년간 성장 가속기에 해당되어 키가 부쩍 크고 골연령 15세부터 약 2~3년간 점차적으로 성장 속도가 느려지며 결국 성인 최종 키엘에도달합니다. 다만, 여기서 강조 드리고자 하는 것은 실제 연령(역연령)이 아니라 골연령을 기준으로 하였다는 점입니다. 만일, 질문자분의 실제 연령과 뼈나이가 같다고 한다면 질문자분은 현재 만 16세 정도로 급성장기는 지났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직 성장이 가능한 시기일 수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실제 연령과 골연령이 반드시 같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뼈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너무 빠르게 진행되면 급성장기도 또래에 비해 일찍 도래하고 모든 성장곡선이 평균보다 빨라져 성장이 일찍 종료되기 때문에 결국 최종 키가 작아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성장판 검사 등의 기본 검사를 통해 어느 정도 성장잠재력이 남아있는지 향후 예측 가능한 키는 현재 시점으로 어느 정도 되는지, 골연령이 실제 연령보다 빠르다면 어떻게 관리하고 경우에 따라서 어떤 의료적 도움을 받아야 할지 등에 대해서 상담하고자 한다면 한방 성조숙증, 성장클리닉을 전문으로 하는 한의원에서 도움을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키 성장을 위한 올바른 생활습관은 사실 질문자분도 알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다만, 실천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아래 사항을 잘 참조하셔서 끝까지 좋은 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먼저, 식습관은 1일 3식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음식을 가리지 않고 골고루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급적이면 공복시간(4~6시간)을 간격으로 1일 3회 주어진 시간에 음식을 골고루 천천히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일, 간식 등을 더 먹고 싶다면 오히려 공복시간보다는 정해진 식사 후에 추가로 섭취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입니다. 저녁식사는 지나치게 배부르지 않도록 하고 특히 지나치게 기름진 음식과 과한 탄수화물 섭취는 자제하여야 하며 저녁식사 후 야식도 가급적 자제하여야 수면 중 성장호르몬 분비가 더욱 원활해질 수 있습니다. 정크푸드 같은 불필요한 칼로리 섭취는 제한하고 영양가는 적고 칼로리만 높은 액상 과당류의 음식은 자제하셔야 합니다(음료수, 피자 햄버거) 성장호르몬은 하루 종일 분비되기는 하되, 특정한 조건인 경우에 분비량이 급증합니다. 첫 번째는 야간에 숙면을 취했을 때 분비량이 급등하며, 저녁식사 후 야식하지 않은 조건에서도 분비량에 도움을 줍니다. 낮에는 상대적으로 분비량이 적으나 중력에 반하는 운동 뛰기, 줄넘기, 농구 등의 상하운동 시 특히 분비량이 증가됩니다. 따라서, 하지 성장판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줄넘기나 걷기 같은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수면습관은 10시~2시 취침 중 성장호르몬 분비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특히 해당 시간에 하루 8~9시간 특히 해당 시간에 충분한 숙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숙면을 취하기 위한 조건이 필요한데,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소리와 빛을 차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그래야 멜라토닌이 원활히 분비되며 이후에 성장호르몬 분비에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핸드폰 시청과 같은 시각적 자극은 취침 전 2~3시 전에 완료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