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우연한의원
윤정선 대표원장
|
A. 하우연한의원 윤정선 박사의 답변
안녕하세요. 대한한의사협회-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윤정선입니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장 패턴은 다르기 때문에 성별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정보가 없으므로 개략적으로 일반적인 성장곡선에 대해 이야기 하자면 남학생의 경우 보통 약 만 12~13세부터 고환의 크기 증가를 동반하는 2차 성징이 시작되고 연간 7cm 이상의 급성장기가 약 만 14 ~15세까지 이어지다가 이후 점점 성장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되어 약 만 16~17세 정도에 최종 성인 키에 거의 근접하게 됩니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 연령으로 보면 대개 만 10세 즈음에 가슴 멍울을 동반한 2차 성징이 시작되고 약 만 12~13세에 초경을 시작합니다. 이후 점점 성장 속도가 둔화되어 만 14~15세 정도에 최종 성인 키에 거의 근접하게 됩니다.
다른 특징으로는 여학생은 초경 전후로 성장 속도가 달라집니다. 초경 전 2년 동안 급성장기(연간 7cm 이상)에 해당하고 초경 후에는 본격적인 성장 감속기가 시작되며 초경 후 최종 키까지 평균 5~6cm 성장합니다(연간 성장아님)
다만, 이는 평균적인 남학생, 여학생의 성장 패턴이며, 2차 성징의 시작 시기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후 모든 성장곡선이 그에 따라 더 늘어질 수도 있습니다.
만일, 여학생이라면 초경 시작 여부 및 얼마나 경과하였는지, 급성장기(연간 7cm 이상)가 있었는지, 성장판이 열려있는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최근 6개월~1년간의 성장이 어느 정도였는지 등을 통해 성장곡선의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겠으나 정보가 없기 때문에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만일, 남학생의 경우에도 급성장기(연간 7cm 이상)이 이전에 있었는지, 성장판이 열려있다면 어느 정도 열려있는지, 최근 6개월~ 1년간의 성장은 어느 정도였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남성이든 여성이든 이미 급성장기를 지났다고 하면 올해 남은 9개월간 10cm 가까이 키우는 것은 사실 매우 어렵다고 보입니다. 아래는 키 성장을 위해 필요한 생활습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당연해 보이지만 그만큼 중요합니다.
첫째, 1일 3식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음식을 가리지 않고 골고루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가급적이면 공복시간(4~6시간)을 간격으로 1일 3회 주어진 시간에 음식을 골고루 천천히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식 등을 더 먹고 싶다면 오히려 공복시간보다는 정해진 식사 후에 추가로 섭취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입니다. 저녁식사는 지나치게 배부르지 않도록 하고 특히, 저녁식사로 지나치게 기름진 음식과 과한 단백질 섭취는 자제하여야 하며 저녁식사 후 야식도 가급적 자제하여야 수면 중 성장호르몬 분비가 더욱 원활해질 수 있습니다. 아침 점심 저녁 굶지 않으면서 정크푸드 같은 불필요한 칼로리 섭취는 제한하고 가급적 식사는 어머니가 차려주시는 가정식을 추천드리며 영양가는 적고 칼로리만 높은 액상 과당류의 음식은 자제하셔야 합니다(음료수, 피자 햄버거)
둘째, 운동습관으로 주로 하지 성장판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줄넘기나 걷기 달리기 등을 꾸준히 지속적으로 하여야 합니다. 성장호르몬은 하루 종일 분비되기는 하되, 특정한 조건인 경우에 분비량이 급증합니다. 첫 번째는 야간에 숙면을 취했을 때 분비량이 급등하며, 저녁식사 후 야식하지 않은 조건에서도 분비량에 도움을 줍니다. 낮에는 상대적으로 분비량이 적으나 중력에 반하는 운동 뛰기, 줄넘기, 농구 등의 상하운동 시 특히 분비량이 증가됩니다.
세 번째로, 수면습관은 위에서 언급한 대로 10시~2시 취침 중 성장호르몬 분비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특히 해당 시간에 충분한 숙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숙면을 취하기 위한 조건이 필요한데,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소리와 빛을 차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그래야 멜라토닌이 원활히 분비되며 이후에 성장호르몬 분비에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핸드폰 시청과 같은 시각적 자극은 취침 전 2~3시 전에 완료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